디지털공론장

전체메뉴
LANGUAGE
KOR ENG GER
로그인 회원가입

A New Order for Shared Prosperity in the Digital Society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
23년 디지털 심화대응 실태진단 도출과정 및 계획
디지털 심화 대국민 인식조사
디지털 권리장전 대국민 인식조사 디지털 심화 시대에 대한 인식 디지털 심화시대에 우려되는 쟁점 디지털 심화 시대 주요 쟁점에 대한 체감도와 대응 중요도 국민이 체감하는 디지털 심화 쟁점 디지털 권리장전 인지도 디지털 권리장전 하면 떠오르는 연상 이미지 디지털 권리장전에 대한 인식 디지털 권리장전 부문별 정부의 현 대응 수준 디지털 권리장전의 실천/실행을 위해 가장 필요한 것 디지털 권리장전이 성공적 확립을 위해 정부가 가장 우선적으로 추진해야 할 조치 디지털 권리장전의 성공적 실천을 위해 국가 간 협력이 중요한 대응 조치
디지털 환경에서의 접근성 보장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합한 노동 권리 보장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해외 사례
개인정보 보호 및 프라이버시 보장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합한 교육 시스템 마련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디지털 경제에서의 공정경쟁 확보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해외사례
디지털 자산 관련 법·제도 정비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메타버스 경제 관련 규범 정립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데이터 개방 촉진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디지털 환경 변화에 적합한 사회 시스템 정립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연구 보고서
AI 안전·신뢰 확보를 위한 기반 조성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해외 사례
분야별 AI활용 기준·원칙 정립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디지털 재난·사이버 위협 예방·대응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건전한 디지털 이용 및 디지털 범죄 예방·대응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해외 사례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동·청소년 보호 및 권리보장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해외 사례
디지털 혁신 촉진 지원 및 갈등 관리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디지털 저탄소 전환 및 기후위기 대응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연구 보고서
글로벌 AI·디지털 협력 강화
논의 필요성 쟁점 현안 내용 부처 대응현황 시사점 관련기사 연구 보고서
디지털 재난·사이버 위협 예방·대응

디지털 권리장전 제18조(디지털 위험 대응)

디지털 재난과 사이버 위협에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논의 필요성

디지털 심화 시대에는 모든 일상이 디지털을 통해 연결되면서, 사고나 장애 등으로 디지털 서비스가 중단되는 경우 국민 생활 전반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게 됩니다. 또한, 항공, 통신 등 국가 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한 사이버 공격은 국가안보까지도 위협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기술이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물리적 재난, 해킹, 사이버 공격 등 다양한 형태의 디지털 위험을 사전에 예방·대비하고, 이미 발생한 재난에 대해 신속히 대응·복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쟁점 현안 내용

[디지털 재난 예방, 대응]
디지털 심화가 진행되면서 디지털 사회의 연결고리인 네트워크와 함께 데이터를 보관·소통하는 데이터 센터,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하는 부가통신서비스 등은 디지털 기반의 핵심 인프라로서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습니다. 최근 발생한 네트워크(KT 아현지사, ’18년) 및 데이터센터(SKC&C, ’22년) 화재는 단순한 서비스 중단을 넘어 금융·결제·통신·교통 등 범사회적 서비스 등에 차질(Blackout)을 일으키면서 디지털 재난의 위험을 명확하게 보여주었습니다. 이처럼 디지털 인프라와 서비스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는 상황에서 디지털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책의 마련과 기술적 보완이 필요합니다.

[사이버 위협 예방, 대응]
최근 사이버 위협이 사회의 전 영역으로 확대되고 고도로 지능화되면서 국민의 일상생활과 기업경제, 나아가 국가 안보를 위협하고 있습니다. 보안 테스트 전문 업체인 AV-TEST37)에 따르면, 글로벌 악성코드 수는 ’19년 10억 개에서 ’22년 13.5억 개로 증가하였습니다.
국내에서도 해킹 침해사고가 지속적으로 증가 (640건(’21)→1,142건(’22)38)하고 있으며, 특히 랜섬웨어, 악성코드로 인한 피해와 가상자산의 유출 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습니다. 사이버 보안에 대한 정책적 지원과 기업의 인식제고 등을 통해 국내 보안역량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지만, 여전히 국내 사이버 보안 기술력은 미국 대비 89% 수준에 머무르고 있어 이를 보완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합니다.

[공공부문 디지털 서비스 안전성 확보]
공공부문의 디지털 인프라와 서비스는 국가안보와 산업경제, 국민생활과 밀접하게 연결된 핵심 자원이므로 더욱 안정적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만약 공공전산망 등에 장애가 발생하여 공공서비스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면, 국민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지방행정전산망의 장애(’23.11)로 인해 민원서비스가 중단되고 업무처리가 지연되는 문제가 발생한 바 있습니다. 그러므로 공공부문의 장애를 예방하고 디지털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금까지의 정보화 관행과 방식을 종합적으로 점검하여 실효성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부처 대응현황

과기정통부는 부가통신·데이터센터 재난 예방·대응 을 위해 디지털안전 3법*(’23.1)이 개정된 이후 동 시행 령을 개정(’23.7)하고, 재난관리 의무를 부가통신사업자 (네이버 등 7개)·IDC 사업자(KT클라우드 등 8개)까 지 확대하였습니다.

* 방송통신발전기본법, 정보통신망법, 전기통신사업법

제로트러스트, SW공급망 보안 등 新보안체계 도입 을 위한 가이드라인(’23.7)을 마련하고, 혁신적 보안기술의 공공시장 도입을 위해 클라우드 보안인증제도를 개선(’23.1)하였습니다.

행정안전부는 행정전산망 장애 재발방지 종합대책 수립을 위해 범정부TF를 구성·운영 중(’23.11~)입니다.

시사점

디지털 심화 시대에는 전반적인 생활이 디지털을 기반으로 하여 연결되므로 공공·민간의 디지털 서비스에 대한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그러므로 디지털 안전의 중요성에 대한 국가·기업·개인의 공통된 인식이 필요하며, 발생가능한 디지털 재난에 대한 철저한 예방과 이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 시스템을 마련해야 할 것입니다.

관련기사
“모든 일상 ALL STOP, 공포의 디지털 블랙아웃”

- KT 아현지사 화재로 인해 서울 서북지역부터 경기도 고양시에 이르기까지 통신이 두절되는 문제가 발생(’18)

-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로 카카오T, 카카오페이, 다음 등 카카오의 모든 서비스가 복구되는데 5일 소요(’22)

현재 브라우저에서는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입니다. 아래의 다른 브라우저를 다운받아 사용해주세요.